은퇴자도 투자할 수 있을까? 스테이블 코인 관련 주식 & ETF 완전 정리

2025. 7. 11. 15:37카테고리 없음

스테이블 코인이란?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 이름 그대로 가격이 안정적인 암호화폐입니다.
대표적으로 미국 달러(USD), 유로(EUR), 원화(KRW) 등 법정화폐에 1:1로 연동되어 가치가 고정되도록 설계됐죠.

💡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

  • USDT (테더) – 가장 널리 쓰이며, 거래량도 압도적
  • USDC (USD코인) – 미국 코인베이스, 서클(Circle)에서 발행
  • DAI (다이) – 탈중앙화 방식으로 담보 기반 발행

스테이블 코인은 변동성이 심한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달리 자산 가치 보존에 강점이 있어,
디지털 금융 인프라나 거래소, 결제시스템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스테이블 코인 시장 전망

스테이블 코인은 단순한 암호화폐가 아닙니다.
앞으로의 디지털 결제 수단,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인프라, 글로벌 송금 시스템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트렌드

  •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등 거래소에서 필수 인프라로 활용
  • 페이팔(PayPal)도 자체 스테이블 코인 PYUSD 발행
  • 전 세계 중앙은행의 디지털화폐(CBDC) 실험과 확장

시장 규모 전망

  • 2024년 기준 약 1600억 달러 규모의 발행잔액
  • 2030년까지 1조 달러 시장으로 성장 가능성 (PwC, Messari 등 예측)

즉, 디지털 금융의 실물 인프라 역할을 할 것이며, 관련 기업은 인프라·보안·결제·송금 부문에서 크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국내 스테이블 코인 관련 주식 & ETF

국내 상장 종목 중 직접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거나 운영하는 기업은 없습니다. 다만, 관련 생태계를 지원하거나 블록체인 기반 사업을 하는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관련주 (간접 수혜주)

종목명 관련성 비고
한컴위드 블록체인·암호화 기술 개발 CBDC 관련
기술력 보유
케이사인 암호인증·보안 솔루션 가상자산 지갑
보안 제공
갤럭시아
머니트리
간편결제·디지털 머니 블록체인 결제
연계 실험 중
 

국내 ETF (간접 관련)

ETF명 특징
TIGER Fn
블록체인
블록체인 기반 기업 투자, 스테이블 코인 인프라 일부 포함
HANARO Fn K
-디지털플랫폼
핀테크·보안기업 위주 구성
 

국내 ETF는 ‘직접적’ 스테이블 코인 관련성은 적지만,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이라는 큰 틀에서는 연관성 있음

 

미국 스테이블 코인 관련 주식 & ETF

미국에는 스테이블 코인을 직접 발행하거나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는 기업이 존재합니다.

US 미국 관련 주식

종목 기업역할 설명
코인베이스
(COIN)
USDC 공동 발행사 Circle과 함께 USDC 발행,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주도
페이팔
(PYPL)
PYUSD 발행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온·오프라인 결제 통합 추진
서클
(Circle, CRCL)
나스닥 상장 USDC 발행사,
금융규제 기반 확장 시도
 

특히 코인베이스스테이블 코인뿐 아니라 가상자산 전체의 유통 플랫폼 역할로 핵심 기업입니다.

 

US 관련 ETF

ETF명 주요구성 설명
Bitwise Crypto Industry
Innovators ETF (BITQ)
코인베이스, 마라톤, 리엇 등 스테이블코인 포함한 암호화
자산 생태계 기업 투자
VanEck Digital Transformation
ETF (DAPP)
암호화폐 인프라 기업 중심 거래소, 지갑, 블록체인
기반 기업 중심
Amplify Transformational
Data Sharing ETF (BLOK)
블록체인 기술 전반 IT기업, 보안, 금융 인프라 포함
 

결론 – 은퇴자가 스테이블 코인 관련주에 투자해도 될까?

 

투자해도 되는 경우

  • ETF 위주로 분산 투자하는 전략을 원할 때
  • 디지털 경제의 성장 가능성에 장기적 투자 마인드를 가진 경우
  • 암호화폐 직접 투자는 부담스럽지만 인프라 기업은 관심 있는 경우

 

주의할 점

  • 스테이블 코인은 안정적이지만, 관련 기업의 주가는 변동성이 큼
  • 규제 이슈(특히 미국 SEC, 한국 금융위)에 따라 영향 가능성 큼
  •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속도에 따라 성패가 갈릴 수 있음

 

한 줄 요약

은퇴자라면, 직접 스테이블 코인을 사는 것보다, 그 기반을 다지는 ‘ETF와 인프라 기업’에 소액 분산 투자하는 것이 더 현명한 방법입니다.

 

특히, 월배당형 ETF 또는 기술 중심 ETF를 적절히 섞어 현금흐름 + 성장성을 함께 노려보는 전략을 추천합니다.